![]() |
![]() ![]() ![]() |
||
ㆍ작성일 : 2013-10-15 (화) 16:36 | ㆍ조회 : 4486 |
올해는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출입문제로 우리 중시조(中始祖)이신 문경공(文敬公휘 珙,1233-1291)선조의 묘역벌초및 성묘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었기에 다음과 같이 문경공 할아버지 유사(遺事)와 자료를 싣습니다.
1750(庚午)년에 발간된 현존 최고보(最古譜)인 경오보(庚午譜)에는 문경공의 生,卒,관직,묘소위치,立碑,이후 誌石발견경위,配位에 대한 기록과 子女들 後系가 기록되어있습니다.
一岡四墓의 문경공 묘역은 백악산 아래 甲座庚向(360도 방위법으로 75도에서 255도 방향)이며 옛 초현원(招賢院) 부근입니다. 700년간의 풍상(風霜)으로 상석이 마모되어 알수가 없지만 문경공墓下 3기는 두째配位 철원최씨,첫째아드님 동주사공(程),다섯째아드님 대제학공(富)순으로 대종회에서 확정하였습니다(2012년 대종보 3페이지 참조). 아래는 묘도(墓圖).
문경공 묘역은 판문점 인근 대성동 동쪽, 한미공동경비구역(JSA)내에 있으며 주소는 파주시 진서면 어룡리 山10번지입니다(구글 위성사진 붉은 화살표).
근대 6.25동란과 휴전이후 公의 제향문제를 정하여 31년간(1965-1995) 큰집인 동주사공파 경남고성 참의공종중 松陽齋(송양재)에서 세일제(歲一祭)를 모시게 되었지만 이전에는 궐사(闕祀)되었습니다. 1995년 김포 시조설단지로 봉심(奉審)되었고 그에 앞서 1992년 장단 비무장지대내 묘역이 확인되어 선영(先塋)현지에서 검초,성묘할수 있게 되었습니다.
陽村(權近1352-1409)文集 35卷에 실린 東賢史略(고려후기 名賢소개)중 許中贊諱珙 부분은 다음과 같습니다. 공의 본관(本貫)은 공암(孔巖)이다. 할아버지 경(京)은 예빈소경(禮賓少卿)과 지제고(知製誥)를 지냈으며, 아버지 수(遂)는 추밀원 부사(樞密院副使)와 한림학사(翰林學士)를 지내고 치사(致仕)하였다. 충헌왕(忠憲王) 무오년(1258, 고종45)에 장문한(張文漢)의 방(榜) 병과(丙科)에 두 번째로 합격하였으며, 충경왕(忠敬王 원종(元宗)) 임신년(1272)과 충렬왕(忠烈王) 병자년(1276)ㆍ무자년(1288)에는 시관이 되었다. 충렬왕 경인년(1290)에 왕이 원(元)에 가 있을 때에 공이 총재(冢宰)로 서울을 지켰는데, 그때 오랑캐 합단(哈丹)이 쳐들어오매, 모두들 강도(江都,강화도)로 피하자고 하였으나 공은 굳게 반대하였다. 얼마 안 되어 제(帝)가 마음대로 국도를 옮기려 한다는 말을 듣고 왕에게 신칙하여, 사신을 보내 조사하여 과연 옮기려 한 자가 있으면 그 괴수를 잡아오라 하니, 국인이 이때 와서야 모두 감복하였다. 다음해 신묘년(1291, 충렬왕17)에 원이 군대를 보내어 합단을 치니, 공도 군대를 동원하여 호응하였는데 오랫동안 말에서 내리지 않았으므로 병이 났으나, 여러 달을 눕지 않다가 8월에 병이 악화되어 졸(卒)하였다. 시호(諡號)는 문경(文敬)이다. 공은 천성이 공검하여 어려서부터 세숫물도 낭비하지 않았고, 높은 벼슬에 올라서도 간소한 음식에 베옷과 부들자리로 검소하게 처신하였으며, 한가히 있을 때에도 기대앉지 않고 항상 손님과 마주한 것처럼 하였다. 공이 어렸을 적에 달밤에 거문고를 타고 있었는데 이웃집 처녀가 담을 넘어왔다. 그러나 공이 가까이하지 않고 예로 타이르니, 그 처녀는 부끄러움을 느껴 뉘우치고 돌아갔다. 公。孔岩人也。祖京。禮賓少卿,知製誥。父遂。樞密院副使,翰林學士致仕。忠憲王戊午張文漢榜丙科第二人。忠敬王壬申。忠烈王丙子戊子。三次典試。忠烈王庚寅。王在上國。公爲冢宰留守。時哈丹賊至。衆議欲入江都避之。公固執不聽。未幾。帝聞擅移國都。勑王遣使探問。若果遷者。其執首謀者以來。國人至是皆服。明年辛卯。上國遣兵追討哈丹。公亦擧兵應之。積日不下馬。因得疾。累月不臥。至八月。疾篤卒。諡文敬。公天性恭儉。自幼盥洗不費水。雖至達官。食不過一器。布被蒲薦。淡然自處。雖燕居不倚坐。常如對客。公之少也。嘗月夜彈琴。隣有處女踰墻而奔。公不敢近。喩以禮義。其女慙悔而返 (끝)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