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허씨대종회 홈페이지 홈페이지
최근댓글 보기 - 최신 댓글만을 순차적으로 보여줍니다.

최근댓글 보기

  연천의 미수허목자료집성 책자 발간
ㆍ작성자 : 이준용 ㆍ작성일 : 2014-02-04 (화) 09:13 ㆍ조회 : 5370
연천문화원에서는 금번 현강문화연구소 이우형 소장과 함께
연천의 미수허목선생과 관련된 자료를 집대성하여 아래와 같은
제목으로 책자를 발간합니다.
자료가 워낙 방대하여 이곳에 모두 올리지는 못하고 제목만 올려 놓겠습니다.
 
예산이 워낙 없어서 책자 발간을 초판에는 몇 권 못하지만
내년도에 예산을 더 지원 받아 증판을 하고자 합니다.
책자가 발간되면 대종회에도 20여권 보내드리도록 하고 내년도 증판시에는
전국의 문화원, 향교, 도서관, 관공서 등에 발송을 할 예정이며
희망하시는 종인님들께는 별도로 보내드리도록하겠습니다.
참고로 책자는 비매품이며 발송비용도 본 문화원에서 부담합니다.
 

 

 

연천 미수허목선생 자료집성

 

 

 

 

 

 

 

이우형 편저

 

 

 

 

 

2014

 

 

 

 

 

 

 

연천문화원

 

 

 

 

 

< 제목차례 >

 

제1장 미수 허목 약전1

제2장 성인을 닮으려는 군자의 삶5

1. 기언 서(記言序) 6

2. 학(學)8

1)천지변화 1(天地變化 一)8

2)천지변화 2(天地變化 二)8

3)천지변화 3(天地變化 三)9

3. 마음의 지각[心之知覺]10

4. 스스로 경계하는 4가지 훈계 [自警四箴]11

5. 자손에게 훈계하는 18가지 경계 [訓子孫十八戒]13

6. 숲 속에 있는 마을을 나와서〈불여묵사지(不如默社誌)〉83자를 짓다

[出林塢。作不如嘿社誌八十有三言]14

7. 불여묵전사(不如默田社) 노인의 16가지 경계 [不如嘿田社老人十六戒]14

8. 기뻐하고 노여워하는 데 대한 경계 [喜怒之戒]15

제3장 시(詩)16

1. 그냥 우연히 읊다[無事偶吟] 1수. 임술년(1682, 숙종8) 17

2. 회포를 담다[寓懷] 2수 17

3. 산의 기운[山氣] 9장 36구18

4. 성인의 글을 보며 [觀書] 3수 19

5. 가함도 없고 불가함도 없음을 읊다[無可無不可吟] 7언 20

6. 무제[無題] 2수. 소회를 쓰다. 21

7. 우연히 절구를 읊어 흥을 풀다[偶吟絶句遣興]21

8. 수작을 신중히 하는 것으로 스스로 경계하다[愼酬酢自警] 5언22

9. 입춘에 20자를 짓다[立春作二十字]22

10. 산 밖의 일은 알지 못하네[不知山外事]23

11. 경칩 뒤에 짓다[驚蟄後作]23

12. 우연히 말하다[偶言] 3수 24

13. 초당(草堂)의 매화를 감상하며[賞草堂梅] 25

14. 무제[無題] 2수 26

15. 산의 해가 비치는 들창[山日牖]26

16. 병중에 짓다[病中作] 2수. 임술년(1682, 숙종21) 4월27

17. 기이한 돌[怪石]27

제4장 연천에서의 전원은거(田園恩居)29

1. 전원거(田園居)30

1)구루암명(傴僂庵銘) 병서(幷序) 30

2)고매루자대년설(古梅樓子大年說) 31

3)산림에 살며 흥을 풀다 [林居遣興] 사시(四時) 31

4)학을 기르다 [養鶴]32

5)석경기(石鏡記) 33

6)입춘잠(立春箴) 두 편 34

2. 수고은거(壽考恩居)34

1)나라에서 집을 지어준 것을 사양한 다섯 번째 차자 [辭作室五上箚]

무오년(1678, 숙종4)34

2)은거시의 서 [恩居詩序] 35

3)십청원기(十靑園記) 37

4)석록초목지(石鹿草木誌) 39

5)만목춘오(萬木春塢)에 대한 소설(小說) [萬木春塢小說] 42

제5장 연천의 자연을 찬미함 43

1. 감악산(紺岳山)44

2. 징파나루 [澄波渡] 45

3. 앙암(仰巖)46

4. 안개 낀 강에 배를 띄우고 낚시한 일에 대한 기 [煙江釣舟記]47

5. 미강에서 뱃놀이를 하고 지은 기 [眉江泛舟記]48

6. 종담수석기(鍾潭水石記)49

7. 여러 장로들과 함께 배를 띄우고 유람한 데 대한 기

[偕諸丈老泛舟遊記] 정미년(1667, 현종8) 50

8. 횡산기(橫山記) 51

9. 심원사에서 피서(避暑)한 데 대한 기 [避暑深源寺記] 52

10. 관음사기(觀音寺記) 53

11. 관음사무설기(觀音寺霧雪記) 계묘년(1663, 현종4) 53

12. 정군(鄭君)에게 주는 산수지로기(山水指路記) [贈鄭君山水指路記] 54

13. 무술주행기(戊戌舟行記) 55

14. 갑진기행(甲辰記行) 60

제6장 잡저(雜著)64

1. 우화정에서 노닌 것에 대한 서문 [遊羽化亭序] 65

2. 송장로(宋長老), 윤희중(尹希仲)과 흥경사(興慶寺) 골짜기 어귀에서

작별한 것을 서술한 소서 [與宋長老,尹希仲興慶谷口敍別小序] 66

3. 권응교(權應敎)에게 준 사잠(四箴)의 서 [贈權應敎四箴序 ]

임술년(1682, 숙종8) 67

4. 절부우명(節婦隅銘) 정미년(1667, 현종8) 7월 67

5. 정생(鄭生)의 초당(草堂)에 제명(題名)한 데 대한 기 [鄭生草堂題名記] 68

6. 낙천와기(樂天窩記) 정군 창기에게 주다(贈鄭君 昌基)69

7. 송군(宋君)의 이포(梨浦) 별업(別業)에 대한 기 [宋君梨浦別業記] 70

8. 장춘와기(長春窩記) 70

9. 남창(南窓)의 친필에 대한 발[南窓親筆跋] 71

10. 정군(鄭君) 형제의 자설(字說) [鄭君兄弟字說] 72

11. 수습된 간돌칼[石刀]에 대한 나의 견해 [得石刀說]73

12. 이생(李生) 구(絿)의 시냇가 정자에 대한 상량문[李生 絿 溪亭上樑文] 74

제7장 애사(哀詞)75

1. 죽은 아들 도(翿)에 대한 제문 [祭亡子翿] 76

2. 이 동자(李童子)에 대한 제문 [祭亡子翿] 남계(楠溪) 이군(李君)의

독자이다.[枏溪李君之獨子也]76

3. 정생 동석(鄭生東奭) 애사 병서 [鄭生東奭哀詞 幷序] 77

4. 수재(秀才) 이헌기(李軒紀) 애사 [李秀才軒紀哀辭] 78

5. 이원기(李遠紀) 애사 [李生遠紀哀辭] 79

제8장 웅연(熊淵)에서의 시(詩)와 기문(記文)80

1. 시81

1)취우당(醉愚堂)에서 우연히 쓰다 [醉愚堂偶題] 81

2)웅연(熊淵)에서 뱃놀이하면서 영숙(永叔)에게 보이다 [熊淵泛舟示永叔] 81

2. 기문82

1)웅연(熊淵)의 귀신을 내쫓는 229자. 귀신의 정(正)과 변(變)을 논하여

요얼에까지 미쳤다 [熊淵泛舟示永叔 熊淵謫鬼祟二百二十九字 論鬼神之正 變。以及妖孼] 82

2)석문기(石文記) 83

3)웅연의 석문에 대한 기 [熊淵石文記]84

4)웅연에서 뱃놀이 한 기 [熊淵泛舟記]84

5)웅연에서 뱃놀이한 그림에 대한 기 [熊淵泛舟圖記] 임자년(1672, 현종13) 85

6)웅연에서 뱃놀이하고 제명하다 [熊淵泛舟題名] 계축년(1673, 현종14) 86

7)웅연(熊淵)의 석문(石文) 뒤에 쓰다 [題熊淵石文後]87

제9장 허씨묘비문 및 외가유사89

1. 판봉상시사묘갈음기(判奉常寺事墓碣陰記)90

2. 찬성공묘비(贊成公墓碑)91

3. 찬성공묘비후어(贊成公墓碑後語)96

4. 찬성공부인묘갈음기(贊成公夫人墓碣陰記 )98

5. 증좌찬성별제부군비(贈左贊成別提府君碑)99

6. 조비정경부인강씨묘갈음기(祖妣貞敬夫人姜氏墓碣陰記)101

7. 증영의정행포천현감부군묘비(贈領議政行抱川縣監府君墓碑)103

8. 선비정경부인나주임씨묘비(先妣貞敬夫人羅州林氏墓碑)108

9. 정경부인전주이씨묘명(貞敬夫人全州李氏墓銘)110

10. 망자통덕랑도묘갈(亡子通德郞翿墓碣) 병진111

11. 자부이씨장표(子婦李氏葬表)113

12. 설옹선생묘갈음기(雪翁先生墓碣陰記)114

13. 강정당유사(姜政堂遺事 )117

14. 강대민공유사(姜戴敏公遺事)118

제10장 구묘문(丘墓文)120

1. 이홍업(李弘業) 묘비의 음기 [李持平陰記] 121

2. 이순암(李純馣) 묘비의 묘명 [李幼薰銘] 123

3. 현극(玄極) 묘비의 묘갈명 [玄吉州墓碣銘] 124

4. 진구주(陳九疇) 묘비의 묘갈명 [陳君墓碣銘] 126

5. 이진무(李晉茂) 묘의 묘표문 [李處士茂卿墓表] 128

6. 정희성(鄭希聖) 묘의 묘갈명 [處士鄭君墓碣銘] 130

7. 이창원(李昌源) 묘비의 묘명 [李德山墓銘]132

8. 권익중(權益中) 묘의 묘갈문 [贈吏曹參判權公墓碣]134

9. 우복룡(禹伏龍) 묘의 묘표음기 [守江原道觀察使禹公墓表陰記]136

10. 정탁(鄭擢) 묘의 묘갈음기 [黃山道察訪鄭公墓碣陰記]145

11. 정호(鄭皓) 묘의 묘갈음기 [淸道郡守鄭君墓碣陰記]147

12. 강진휘(姜晉暉) 묘의 묘지 [壺溪公墓誌]149

제11장 미수 허목 자찬묘비명과 신도비문151

1. 자명비음기(自銘碑陰記) 152

2. 허미수자명(許眉叟自銘)153

3. 신도비문(神道碑文)154

제12장 그 외 관련유적166

1. 은거당지167

2. 미강서원지167

3. 취우당지167

4. 웅연석문168

5. 권희 묘168

6. 남계 이남 묘169
 
 
참고로 본 책자는 연천과 미수허목선생에 대한 자료를 미수기언과 함께 많은 책자를 참고자료로 하였으며 이우형선생이 각 비문과 묘갈문 등을 직접 답사하여 예전에 잘못된 번역이나 위치 등을 바로잡은 최초의 책자임을 알려 드립니다.
 
연천문화원 사무국장 이 준용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69 종중을 위한 소송에 방해가 웬 말이냐! [7]+7   허준 2014-08-15 6869
1568 한국의 성씨와 이름(1) [1]   허기술 2010-02-17 6829
1567 인사법 / 절하는 방법 [2]+1   허찬회 2010-09-11 6712
1566 도강영당 [2]   허유권 2016-04-22 6680
1565 서해어룡동(誓海魚龍動)...조국에 대한...   허장호 2016-01-07 6676
1564 양천허씨 다섯째할아버지 이름과 파를 알려주세요. [19]   허효연 2015-05-22 6675
1563 추석 전에 벌초 안 하면 덤불 쓰고 명절 먹으러 온다 [김길웅], ..   허장호 2018-09-21 6528
1562 '충효청백'정신을 잇는 양천허씨 집성촌 띄기(茅溪)   허장호 2017-02-01 6527
1561 삼척에 남은 미수 허목(許穆)의 자취   허장호 2017-10-27 6421
1560 양천허씨낭천공파보   허찬회 2010-11-08 6324
1559 동의보감 서문(東醫寶鑑序) - 月沙 李廷龜 [3]+2   허현 2013-09-20 6294
1558 허균(許筠)의 교산집(蛟山集)   허장호 2018-09-07 6183
1557 한국의 성씨와 이름(5) [3]+2   허기술 2010-02-17 6166
1556 동주사공파 진경재 3종중 시제 참례기.   허은 2017-11-22 6159
1555 장단종친회 소개   허병욱 2014-08-22 6117
123456789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