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허씨대종회 홈페이지 홈페이지
최근댓글 보기 - 최신 댓글만을 순차적으로 보여줍니다.

최근댓글 보기

  東州事 11世 諱 許程.
ㆍ작성자 : 허유권 ㆍ작성일 : 2016-05-07 (토) 15:47 ㆍ조회 : 4883
국역 고려사 : 열전

허공

[ ]

허공()1)은 자가 온독()2)이고 처음 이름이 허의()이며 공암현( : 지금의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 사람으로, 부친 허수()3)는 관직이 추밀부사(使)에 이르렀다. 허공은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용모가 빼어났다. 고종 말에 과거에 급제4)하자 승선() 유경이 허공과 최녕()·원공식()을 천거하여 나란히 내시()에 소속시키고 정사점필원()5)으로 삼자 당시 사람들이 그들을 정방삼걸()이라고 불렀다. 국학박사()로 옮겼고 원종 초에는 합문지후()로 임명6)되었으며, 거듭 승진해 호부시랑()을 지내면서 『신종실록()』·『희종실록()』·『강종실록()』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원종 10년(1269)에 우부승선()·이부시랑()·지어사대사()로 임명되었다.

당시 임연()이 정권을 잡고 제멋대로 위세를 부리면서 아들 임유무()를 허공의 딸에게 장가들이려 했으나 허공이 허락하지 않았다. 임연이 협박을 해도 끝내 거절하자 임연은 결국 왕에게 알렸고, 왕은 허공을 불러,

“임연은 성격이 간악하니 원한을 사지 말아야 할 것이다. 경은 깊이 생각하라.”
고 설득했다. 그러나 허공은,

“제가 차라리 화를 당할지언정 딸을 역적의 집으로 시집보내지는 못하겠습니다.”
라고 거절하니 왕이 그를 의롭게 여기고

“경은 잘 대처하라.”
고 당부했다. 허공이 물러 나와 바로 딸을 평장사 김전()7)의 아들 김변()에게 시집보내니 임연이 그 일을 두고 큰 원한을 품게 되었다.

그 후 임연이 김준()을 죽일 때 많은 문신과 무신들도 해를 입었다. 허공이 마침 처8)의 장례를 치르고 양천현( : 지금의 경기도 김포시 양촌면)에 있다가 개경으로 돌아오는 길에 통진현( : 지금의 경기도 김포시 통진면)에 이르러 변란의 소식을 듣게 되었다. 자신도 해를 입을까 우려한 나머지 강에 투신해 자살하려고 했다가 죽고 사는 것은 천명이라 마음을 다잡고 개경으로 들어갔다. 임연이 많은 조정의 신하들을 죽이고 나니 함께 관리의 선발을 의논할 만한 사람들이 없는지라 측근들에게 허공이 귀경했는지를 물었다. 허공이 그 말을 듣고 임연의 집으로 갔더니 임연이 크게 기뻐하며 맞아들여 자리를 권한 후, 일이 있어 장례에 가지 못했으니 나무라지 말기를 바란다며 사과하고 그에게 관리의 선발을 맡겼다. 허공이 적절하게 관리를 선발하고 임명했으므로 임연이 기뻐하며 왕에게 보고해 후하게 선물을 내려주게 했다.

임연이 왕을 폐위9)시킨 후 병 때문에 왕위를 물려주었다고 거짓말로 몽고에 표문을 보냈다. 몽고에서는 그가 거짓말을 했다는 낌새를 알아차리고 왕이 직접 입조해 진상을 말하라고 재촉했다. 왕이 원나라로 가는 길에 송참()에 이르자 호종하는 신료()들에게,

“동경행성()에서 임연이 마음대로 왕을 폐립한 것이 사실이냐고 물으면 어떻게 대답하면 좋겠는가?”
라고 의논하자 허공과 대장군() 이분희(), 장군() 강윤소() 등이 임연의 뜻에 따라, 표문에 적힌 대로 대답해야 한다고 건의했다.

당시 유초()10)란 자는 승선() 유홍()11)의 아들로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해 이장용()의 손녀에게 장가들었다. 이장용을 따라 원나라에 갔다가 황제에게 잘 보이려고 고려의 승선() 허공, 상장군 강윤소, 장군 공유()12)가 공모해 원나라를 배반하려고 한다고 무고했다. 황제가 부카[]를 시켜 허공 등을 체포해 유초와 대질 심문시켰더니 유초가 거짓말이라고 자복하므로 그를 장형에 처했다. 뒤에 첨서추밀원사()로 승진했다가, 충렬왕 원년(1275) 개정된 관제에 따라 감찰제헌()으로 임명되었다.

허공은 정당문학 윤극민()13)의 딸에게 장가들었는데, 처가 죽은 후 자기 집에서 길렀던 처제의 딸과 재혼하고서 헌사의 탄핵을 받았다. 당시 조정의 신하들이 모두 새로운 관직 제도에 따라 직함이 바뀌자 왕에게 사례했으나 허공만이 그 자리에 참석하지 못했다. 뒤에 판밀직()·지첨의부사()를 역임하였다. 원나라 세조가 일본을 정벌하려 하자 왕은 도지휘사(使)를 각지로 보내어 전함의 건조를 독려했다. 허공은 경상도로 가고 홍자번()은 전라도로 갔는데, 홍자번이 반도 못 마쳤을 때 허공은 벌써 일을 완료하고 돌아오니 홍자번이 그의 능력에 탄복하였다. 참문학사()·수국사()로 옮겨 한강()·원부() 등과 함께 『고금록()』14)을 편찬하였고 이에 첨의중찬()으로 임명되었다.

16년(1290), 충렬왕이 원나라에 있을 때 허공은 홍자번과 함께 개경에 남아 지키고 있었다. 카다안[]이 지휘하는 적병이 동쪽 변방으로 침입15)하려 했는데, 적이 이미 우리땅 깊이 들어왔다는 유언비어가 떠돌아 전국의 인심이 흉흉해졌다. 홍자번 등이 강화( : 지금의 인천광역시 강화군)로 피난하자고 주장하자 허공과 최유엄()만은,

“지금 주상께서 원나라 수도에 계신데 어찌 유언비어를 믿고 마음대로 도읍을 옮기겠는가?”
라고 반대했다. 홍자번 등이 원로 재상들을 모아 놓고 의논한 후 다들 옮겨야 한다고 주장하니 허공이 어쩔 수 없어 당리() 문증()에게,

“중론이 이러하니 막을 도리가 없다. 나와 그대가 수도를 지키며 왕명을 기다리자.”
고 했다. 이에 재상들이 모두 나서,

“사람들이 허중찬()이 나라를 안정시켰다고 했는데 어찌 지금은 나라를 그르치는가?”
하고 비난했다. 허공이 집으로 돌아와서 자손들을 불러 놓고,

“나는 반드시 여기에 머물 터이니 너희들 가운데 나를 따르지 않는 자는 나의 자손이라 할 수 없으며, 반드시 법으로 처단할 것이다.”
고 선포했다. 얼마 뒤에 인후()16)가 원나라로부터 와서,

“황제가 다시 강화도로 천도한다는 말을 듣자 왕에게 ‘그 말이 사실이라면 주모자를 잡아 오라.’고 분부했다.”
고 알리자 그제야 나라 사람들이 허공의 지혜와 식견에 탄복하였다. 이듬해 원나라가 군사를 보내 카다안 토벌에 나서자 허공도 군사를 동원해 협조했다. 며칠을 계속 말을 탔으므로 감기에 걸렸으나 여러 달 동안 버티다가 8월에 병이 위독해져서 쉰아홉 살로 죽으니 시호를 문경()이라 했다. 왕은 좌사의대부() 김현()을 시켜 제문을 짓게 하였다.

허공은 성품이 겸손하고 검소했으며 집안 살림을 돌보지 않았다. 고관이 되어서도 한 그릇 식사에 베 이불과 부들 요를 깔고 지내면서 늘 즐거운 기색을 잃지 않았다. 여러 사람들과 있을 때는 말을 삼갔고 한가히 지낼 때라도 기대어 앉지 않았으며 마치 귀한 손님을 만난 것처럼 행동을 조심했다. 젊었을 때에는 하루도 빠짐없이 늘 종 한 명을 데리고 다니면서 버려진 사람의 뼈와 썩은 살을 묻고 장사지내 주었으며 버려진 시체를 보면 몸소 져다가 묻어주었다. 한번은 달밤에 거문고를 타고 있었는데 이웃의 처녀가 담을 넘어 달려왔으나 허공이 가까이 하지 않고 예의로 타일렀더니 처녀가 부끄러워하며 뉘우치고 돌아갔다.

충선왕 2년(1310)에 충렬왕의 묘()에 배향하였다. 아들17)은 허정()·허평()18)·허관()·허총()·허부()이다. 허정은 동주사()를 지냈다. 허평은 뒤에 이름을 허숭()으로 고쳤으며 검교정승() 양천군()까지 지내다 죽으니 시호를 양숙()이라고 하였고 아들로 허종()을 두었다.

관련이미지 (4)

고려사 - 허공
고려사 - 허공

이미지 갤러리

출처: 국역 고려사: 열전

4/4


  • 고려사 - 허공
  • 고려사 - 허공
  • 고려사 - 허공
  • 고려사 - 허공
위 이미지에 대한 권리는 출처사이트 게시자에게 있으며, 이를 무단 사용할 경우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각주

  1. 1 허공(1233~1291) : 삼한공신(三韓功臣) 허선문(許宣文)의 후손으로, 본관은 공암(孔巖)이며, 자는 산휘(山輝)이다. 증조는 전구서승(典廐署丞)을 역임한 허이섭(許利涉)이며, 조부는 예빈소경·지제고(知制誥) 허경(許京)이다. 부친은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추밀원부사·한림학사승지 허수(許遂)이며, 모친은 신정군부인(新定郡夫人) 장씨(張氏)로 합문지후 장□우(張□友)의 딸이다. 고종 45년(1258) 6월 과거에 급제한 후 충렬왕 때까지 첨의중찬(僉議中贊) 등을 역임한 문신관료로, 이 집안은 허공대부터 고려 후기를 대표하는 세족으로 성장하였다. 허공의 가계에 대해서는 『고려사』 권98, 열전11, 허재전(許載傳) 참조.

    [네이버 지식백과] 허공 [許珙] (국역 고려사: 열전, 2006. 11. 20., 경인문화사)



  2. 11세 동주사공 할아버지의 네이버 지식 백과에서 옮겨 보았습니다....각주에서 ㅁ자로된것은 합문지후 장극우 입니다...



  0
3500
번호     글 제 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1509 새겨들을 허준 선생의 어록 [1]+1   허기술 2014-01-14 5034
1508 허벽(許璧) 연세대 명예교수를 만나다. 2016. 12. 21.   허장호 2016-12-21 5028
1507 [설문] 홈페이지에 대한 의견 [5]+2   대종회 2009-11-30 5011
1506 海東繹史 제48,49集 양천허씨詩選 (고전번역원 번역) [3]   허현 2013-11-01 5007
1505 허씨 이름에 외자가 많은 이유가 궁금합니다. [2]   허민 2010-05-19 4981
1504 순흥안씨 종중에 기록된 동주사공파 휘 허방,허윤공,허지 할아버.. [8]   허유권 2018-07-20 4976
1503 <결국, 무산됐다!!!> 이제! 평정심 찾아, 종중발전 기여. [2]   허현강 2013-12-15 4966
1502 송암공파(제주도) 허영배 종친 모교에 장학금 1억원 기탁, 2016... [2]   허장호 2016-04-23 4953
1501 판도좌랑공파종회는 설립되어야 한다 [2]   허찬회 2013-12-06 4939
1500 허백련 춘설헌(許百鍊 春雪軒)   허장호 2016-02-17 4914
1499 무덤앞 비석, 문인석과 함께 작고 낮은 6각형돌은 무엇이라 하나.. [1]   허효연 2016-05-02 4912
1498 [뉴스] 홍길동 박물관 20일 개관   허찬회 2009-09-07 4898
1497 충정공파 종친 여러분께   허경행 2015-04-04 4887
1496 東州事 11世 諱 許程.   허유권 2016-05-07 4883
1495 [스크랩] 다도해가 펼치는 수묵화… [3]   허찬회 2013-10-15 4883
12345678910,,,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