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ㆍ분류 : 조선 | ||
ㆍ세수(世數) : 19 |
시조로부터 19세손이다. 자는 자평(子平)이다. 증조 허겸(許謙)은 사헌부 감찰이고, 조부 허탁(許倬)은 첨지중추부사(僉知中樞府事)이고 아버지 허천익(許天益)은 공조참의인데 충북 진천에서 살다가 작은 할아버지인 현령공(縣令公) 허건(許健)의 임소를 따라와 마침내 철성에 살게 되었다. 어머니는 달성배씨(達城裵氏)로 진사 배명관(進士 裵命寬)의 따님이다. 공은 일찍부터 동무들 중에서 뛰어나 출중한 재주가 있었다. 침착하고 장엄(莊嚴)하여 가볍게 기뻐하고 노여워하지 않았으며 자신을 바르게 하여 남을 바로잡고 마음을 겸허히 하여 사람들을 포용해 주었다. 그러므로 집안과 시골에 훌륭한 명성이 있었으며 은거하면서 의(義)로운 일을 행하다가 마침내 노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다. 말년에는 거류산(巨流山) 아래 송정리(松亭里)에 터를 잡아 거주하고 이로인하여 자손들에게 "우리가문은 충효(忠孝)를 전해오고 청백(淸白)함을 대대로 지켜오니 이는 우리 선조께서 편안함을 물려 주었던 방덕공을 본받아 분수를 지키라는 뜻이니 조금도 홀로 아름답게 살 생각을 하지 말라" 하고 경계하였다. 천산재 허천수(天山齋 許千壽), 와룡 이현(臥龍 李顯), 찰방 최진호(察訪崔振虎), 월화당 노극복(月華堂 盧克復)등 여러 현자들과 교유하였다. 미수선생(眉叟先生:허목)은 일찌기 공을 방문하여 함께 즐겁게 담소하고 친족간의 우의(友誼)를 닦았으며 인하여 금봉사(金鳳祠)에서 예를 행할 때 모든 준비를 주선하였으니 당시에 사림(士林)들을 흥기(興起)시켰음을 알 수 있다. 배위는 숙부인(淑夫人) 경주김씨(慶州金氏)로 선비인 언양(彦良)의 따님인데 묘는 통영군(統營郡) 화도산(花島山) 해좌(亥坐)의 언덕에 있다. * 방덕공(龐德公):후한(後漢) 말기의 은사(隱士)로 처자식과 함께 농사를 지으며 생활하였다. 당시 형주자사(荊州刺史)로 있던 유표(劉表)가 찾아가서 "왜 처자식들을 이처럼 고생시키느냐?"고 묻자 대답하기를 "세상사람들은 모두 위험한것을 물려주는데 나만은 편안한 것을 물려준다."고 하였다. 즉 난세에 벼슬하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며 농사를 짓는 것이야말로 편안하게 살 수 있는 방법임을 강조한 것이다.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