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허씨대종회 홈페이지 홈페이지
[배출인물-모두 보기]는 다양한 보기 및 검색기능을 제공합니다.
  • 바로 아래의 [SORT] 및 [OPTION] 버튼은 정렬방법과 목록/본문의 출력 옵션입니다.
    맨 아래의 검색에는 확장검색 기능을 추가하여 보다 다양한 선택적 검색을 도와줍니다.
  허원(許源)
ㆍ분류 : 조선  
ㆍ세수(世數) :  26
허원(許源)

 
1671년(현종 12)∼1731년(영조7). 조선 후기의 문신.
시조로부터 26세손이다.

자는 청보(淸甫). 병자호란 때 순절한 경상좌도병마절도사 허완(許完)의 현손(玄孫)이며,
증승지 호(鎬)의 아들이다.
어머니는 청송심씨(靑松沈氏)이며, 배위는 여산송씨(礪山宋氏)이다.

이세필(李世弼)의 문인이다.
1689년(숙종 15) 19세의 나이로, “쌍령에서 순절한 사람의 후손을 서용하라.”는 숙종의 명에 의하여,
순릉참봉(順陵參奉)이 되었고,
금부도사를 거친 뒤 1695년 예안현감이 되어서 선정(善政)의 표본이 되었다.

4개고을의 수령을 역임하고 1728년(영조 4) 천안군수로 재임중
이인좌(李麟佐)의 난이 일어나 반군(叛軍)이 병사(兵使)를 죽이고 서울로 향하고 있을 때
인근 고을 수령들은 모두 도망하였으나 허원은 동요하지 않고 굳게 지켰다.

그는 군대를 징발하여 적에 대비하는 한편, 척후를 보내 적정을 염탐하여 보고하였고,
도순문사 오명항(吳命恒)으로부터 운량사(運糧使)에 임명되어 이 난을 진압하는 데 크게 공을 세웠다.

그 공으로 이듬해 청주목사로 승진되었다.
공은 성격이 단아하고 소박한 것을 좋아하고 말과 웃음이 적었으며
남의 곤궁함을 내일처럼 여겼다고 한다.

공은 아들 여섯을 두었는데
첫째 허집(許集)은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司諫),
둘째 허채(許采)는 문과에 급제하여 장령(掌令),
셋째 허반(許槃)은 연안부사(延安府使)이고
넷째 허계(許棨)와 다섯째 허경(許檠)은 진사(進士),
여섯째 허휘(許彙)는 문과에 급제하여 부제학(副提學)으로 당대 집안의 자랑이었다.

1731년 논공행상에서 분무원종공신(奮武原從功臣)으로 책봉되고, 이조참의에 추증되었다.
묘는 경기도 포천군 신북면 신평리 산 89-1번지에 있으며 묘비문은 성호 이익(星湖 李瀷)이 지었고
글씨는 석봉 한호(石峰 韓濩)의 집자(集字)로 썼다.

 

* 현손(玄孫) : 손자의 손자.
* 이인좌의 난 : 조선 후기(1728년) 이인좌 등의 소론(少論)이 주도한 반란.
                        일어난 해의 간지를 따서 무신란(戊申亂)이라고도 한다.
 
번호     글 제 목 별칭/관직명 세수(世數) 시호(諡號) 봉군(封君) 상신(相臣) 공신(功臣)   청백리   호당(湖堂)   키워드  
31 조선 허계(許啓) 성우(醒愚) 명로(明老) 24
30 조선 허로(許輅) 순안현감(順安縣監) 24
29 조선 허제(許堤)-보 24 양녕군
28 조선 허육(許堉) 24 양흥군
27 조선 허일(許馹) 25
26 조선 허윤(許玧) 25 양경(良景)
25 조선 허정(許珽) 자는 중옥(仲玉), 호는 송호(松湖) 25
24 조선 허협(許悏) 25
23 조선 허선(許銑) 가선대부(嘉善大夫) 25 양원군
22 조선 허정(許晶) 26 영조조
21 조선 허원(許源) 26
20 조선 허경(許熲) 빙호(氷湖) 경오(耿吾) 26
19 조선 허흡(許潝) 26 양은군
18 조선 허휘(許彙) 27
17 조선 허임(許任) 금위중군(禁衛中軍) 28
123456789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