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허씨대종회 홈페이지 홈페이지
  [보물 제592-3호] 허목 전서 애군우국(許穆 篆書 愛君憂國)
ㆍ분류 : 서울  
보물 제592-3호 : 허목 전서 애군우국(許穆 篆書 愛君憂國)
 
 
조선 문신·학자·서화가인 미수 허목의 전서, 조선 후기 대표적인 서예작품
지정번호  보물 제592-3호 
소장  남화진(개인) 
소재지  부산 남구  
시대  조선시대 
분류  서예작품
지정일 2010년 10월 25일
 
허목 전서 애군우국(許穆 篆書 愛君憂國 )은 장지 두 장에 쓴 것으로 현재까지 알려진 미수 허목(1595-1682)의 편액 글씨 가운데 가장 크며 보존상태도 양호한 편이다. 글씨 양쪽에 [주인 疇人], [미수 眉叟][일신 日新]과 [미수 眉叟][구주노인 九疇老人]이란 허목의 인장 5개가 찍혀 있다. 고려대박물관 소장 <함취당> 편액과 더불어 허목의 대자(大字) 전서풍을 대표하는 예이다. 특히 획법이 경건(勁健)하고 힘차다.

 
 
 
번호 본문내용 지역 작성일 조회
86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
 「광한전 백옥루 상량문」  廣寒殿 白玉樓 上樑文  분야  문화·교육/예술, 문화유산/유형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강원도 강릉시 죽헌동 201 &..
강원 2010-11-21 16911
85
[보물 제592-3호] 허목 전서 애군우국(許穆 篆書 愛君憂國)
보물 제592-3호 : 허목 전서 애군우국(許穆 篆書 愛君憂國)  조선 문신·학자·서화가인 미수 허목의 전서, 조선 후기 대표적인 서예작품지정번호  보물 제592-3호  소장  남화진..
서울 2010-10-29 10237
84
파사석탑(婆裟石塔)
 파사석탑(婆裟石塔) 설화    허황후릉(陵)에  있는 파사석탑(婆裟石塔)에는 이런 얘기가 전해진다.옛날 금관가야가 이 지방을 다스리던 시절의 일이다. 금관가야를 세운 수로왕이 인..
경상 2009-07-09 10000
83
[전남기념물 제51호] 운림산방(雲林山房)
운림산방(雲林山房)   운림산방 - 아침 저녁으로 안개가 피어올라 구름숲을 이루니 운림이고 소치 허련선생이 만년에 기거하던 당호(집의 이름)    1981년 10월 20일 전라남도기념물 제51호..
전라제주 2009-07-09 9841
82
향오공 허한 부자 영정 (香塢公 許僩 父子 影幀)
향오공 허한 부자 영정 (香塢公 許僩 父子 影幀)시도유형문화재 / 제201호 / 충주시  허한 영정(왼쪽)과 허적 영정  ⓒ 문화재청  지역  충청북도 충주시 소태면 오량리 178-3 ..
충청 2010-10-29 9664
81
[보물 제592-3호] 고문운부(古文韻府)
[보물 제592-3호] 고문운부(古文韻府)     종 목  보물  제592-3호  명 칭 고문운부(古文韻府)  분 류 기록유산 / 서간류/ 서예/ 서예  수량/면적 9책 지정(등록)일..
서울 2010-10-29 9608
80
[강원유형문화재 124호] 난설헌시집 목판 초간본
『난설헌시집』  蘭雪軒詩集  - 강원도 유형문화재 제124호    - 강릉시 죽헌동 177-4     이칭/별칭  허난설헌시집  분야  구비전승·어문학/문학,..
강원 2010-11-21 9420
12345678910,,,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