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천허씨대종회 홈페이지 홈페이지
  충렬사(忠烈祠)
ㆍ분류 : 전라제주  
충렬사(忠烈祠)
 
 
 
위치:순천시 조례동150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허일과 그의 셋째 아들 허곤, 6촌 동생 허경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허일은 무예가 뛰어나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1592)는 삼포수방사겸웅천현감으로 재직 중 충무공 이순신을 도와 남해 등지에서 공을 세웠다. 그 뒤 충의공 최경회와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이듬해 진주성이 함락되면서 순절하였다. 허곤은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따라 싸우다 한산전투에서 순절하였고 허경은 이충무공 아래서 전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중인 선조 26년(1593)에 처음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고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해체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12년 다시 세우고 1975년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강당이 있고, 강당 북쪽의 내삼문을 들어서면 위패를 모신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충열사가 있다.
충렬사는 순천에서 광양으로 가는 국도변에서 왼쪽으로 300여m 지점의 외진 산등성이에 남향으로 자리한다. 충렬사는 임란때 진주성 전투에 전공을 세우고 순절한 일심재 허일(一心齋 許鎰)을 주벽으로 그의 셋째아들 재헌 허곤(載軒 許坤), 재종제(再從弟) 장암 허경을 배향하고 있다. 처음 건립은 왜란중인 선조 26년(1593)으로 전하나 어디에 창건되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그 후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훼철되었고, 그 뒤 1912년에 지금의 조례동에 다시 세웠으며 1975년 중건하였다. 허일은 순천 출신으로, 특히 무예(武藝)가 뛰어나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역임하였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삼포수방사겸웅천현감(三浦守防使兼熊川縣監)으로 재직 중 충무공 이순신을 도와 남해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 후 충의공 최경회와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다 이듬해 6월 진주성이 함락되면서 순절하였다. 선무원종공신일등훈에 녹훈되었다. 허곤은 임진왜란때 아버지를 따라 싸우다 한산전투에서 순절하였고, 허경은 이충무공 아래에서 전공을 세웠다. 충열사의 건물배치는 외삼문인 여주문(如主門) 3칸을 들어서면 강당인 세수재(世守齋)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맞배지붕이며 세수재 북쪽으로 협문 1칸이 있고 다음으로 내삼문인 소현문(昭顯門)이 있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신실인 충열사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맞배지붕이다. 신실 남동쪽에서는 정면 4칸의 직사(直舍)가 있다. 사당은 전면 반칸을 툇간으로 개방하고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고 위패를 봉안하였다. 2고주 4량가의 구조이다. 이처럼 충열사와 같이 임진왜란 때 전사 혹은 전공을 세움으로써 그 문중에 의하여 사당을 세워 문중의 명예로 삼은 사례는 많은데, 특히 충렬사는 한 가족원이 전투에 참가하여 모두 전사하였다는 점에서 남다른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출처 : 순천시청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허일과, 그의 셋째 아들 허곤, 6촌 동생 허경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허일은 무예가 뛰어나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역임하였고 임진왜란 때(1592)는 삼포수방사겸웅천현감으로 재직 중 충무공 이순신을 도와 남해 등지에서 공을 세웠다. 그 뒤 충의공 최경회와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다가 이듬해 진주성이 함락되면서 순절하였다. 허곤은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따라 싸우다 한산전투에서 순절하였고 허경은 이충무공 아래서 전공을 세웠다.
 
임진왜란 중인 선조 26년(1593)에 처음 세웠다고 하는데 정확한 위치는 알 수 없고 고종 5년(1868)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으로 해체되었다. 지금 있는 건물은 1912년 다시 세우고 1975년 고쳐 지어 오늘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건물 배치는 외삼문을 들어서면 앞면 4칸·옆면 2칸 규모의 강당이 있고, 강당 북쪽의 내삼문을 들어서면 위패를 모신 앞면 3칸·옆면 2칸 규모의 충열사가 있다.
 
충렬사는 순천에서 광양으로 가는 국도변에서 왼쪽으로 300여m 지점의 외따른 산등성이에 남향으로 자리한다. 충열사는 임란때 진주성 전투에 전공을 세우고 순절한 일심재 허일(一心齋 許鎰)을 주벽으로 그의 셋째아들 재헌 허곤(載軒 許坤), 재종제(再從弟) 장암 허경을 배향하고 있다. 처음 건립은 왜란중인 선조 26년(1593)으로 전하나 어디에 창건되었는지는 잘 알 수 없다. 그후 고종 5년(1868) 대원군의 서원 훼철령으로 훼철되었고, 그 뒤 1912년에 지금의 조례동에 다시 세웠으며 1975년 중건하였다.
 
허일은 순천 출신으로, 특히 무예(武藝)가 뛰어나 무과에 급제하여 감찰을 역임하였다. 선조 25년(1592) 임진왜란 때 삼포수방사겸웅천현감(三浦守防使兼熊川縣監)으로 재직중 충무공 이순신을 도와 남해 등지에서 전공을 세웠다. 그 후 충의공 최경회와 함께 진주성을 사수하다 이듬해 6월 진주성이 함락되면서 순절하였다. 선무원종공신일등훈에 녹훈되었다.
 
허곤은 임진왜란때 아버지를 따라 싸우다 한산전투에서 순절하였고, 허경은 이충무공 아래에서 전공을 세웠다. 충열사의 건물배치는 외삼문인 여주문(如主門) 3칸을 들어서면 강당인 세수재(世守齋)가 정면 4칸, 측면 2칸 규모로 맞배지붕이며 세수재 북쪽으로 협문 1칸이 있고 다음으로 내삼문인 소현문(昭顯門)이 있다. 내삼문을 들어서면 신실인 충열사가 정면 3칸, 측면 2칸의 규모로 맞배지붕이다. 신실 남동쪽에서는 정면 4칸의 직사(直舍)가 있다. 사당은 전면 반칸을 툇간으로 개방하고 내부는 우물마루를 깔고 위패를 봉안하였다. 2고주 4량가의 구조이다.
 
이처럼 충열사와 같이 임진왜란 때 전사 혹은 전공을 세움으로써 그 문중에 의하여 사당을 세워 문중의 명예로 삼은 사례는 많은데, 특히 충열사는 한 가족원이 전투에 참가하여 모두 전사하였다는 점에서 남다른 중요성이 있다고 하겠다.

[출처] blog.naver.com/nocleaf / 문화재자료 제6호(전남) 충열사(忠烈祠)
 
 
 
정면 3칸.측면1칸.맞배지붕 조선중기 임진왜란(1592)때 진주성 전투에서 순절한
19世 일심재 허일(許鎰), 허경(許鏡), 20世 허곤(許坤)을 배향한 사우로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으로 훼철 되었다가 녹권과 교지를 문화재로 지정받아 재건한것이다.
* 문화재자료 제6호(84년2월29일)
 
번호 본문내용 지역 작성일 조회
23
남농(南農) 기념관
남농(南農) 기념관     갓바위와 향토문화관 부근인 목포시 용해동 91번지에 위치한 남농기념관은 한국 남종화의 거장이자 운림산방의 3대주인 남농 허건(許楗) 선생이 1985년 10월 남농의 선대..
전라제주 2009-07-09 6083
22
허국 효자 정려(旌閭)
허국 효자 정려(旌閭)     위치 : 경기도 평택시 죽백동 산 81번지에 위치 26世 허국(許국)에게 숙종25년(1699) 12월 효행으로 나라에서 정려(旌閭)가 내려 졌다. 
경기 2009-07-09 5627
21
경현당석연도(景賢堂錫宴圖))
경현당석연도     기해기사계첩 경현당석연도(己亥耆社契帖 景賢堂錫宴圖)허숙(許璹)(17世紀 後半 ∼18世紀 初) 外朝鮮 1719∼1720年비단·彩色 44.0×67.7 .  보물929호 소재지..
서울 2009-07-09 7252
20
양천허씨 조형비
양천허씨 조형비  작품명:[기(氣)]전면(前面)에는 양천허씨의 내력이 후면(後面)에는 선조유교(先祖遺敎)가 쓰여져 있다.*조각가:임혜숙(경희대학교 미술대학원 졸-전 양천허씨 전 대종회장(허찬)의 자부(..
충청 2009-07-09 5610
19
홍길동 동상
홍길동 동상    21世 교산 허균(許筠)을 기념한 홍길동 동상입니다. 허균은 1569(선조 2)∼1618(광해군 10). 조선 중기의 문신. 자는 단보(端甫), 호는 교산(蛟山)·학산(鶴山)·성소(惺所)·백월거사(..
강원 2009-07-09 5146
18
충렬사(忠烈祠)
충렬사(忠烈祠)   위치:순천시 조례동150   임진왜란 때 진주성 전투에서 공을 세우고 순절한 허일과 그의 셋째 아들 허곤, 6촌 동생 허경의 위패를 모신 사당이다. 허일은 무예가 뛰어나 무과..
전라제주 2009-07-09 5604
17
[강원문화재자료 제59호] 허난설헌 생가(許蘭雪軒 生家)
[강원문화재자료 제59호] 허난설헌 생가(許蘭雪軒 生家)소재지  강원 강릉시 초당동 475-3번지  지정번호  강원문화재자료 제59호   1985년 1월 17일 강원도문화재자료 제59호로 지정..
강원 2009-07-09 5769
12345678910,,,13